만남 Une Rencontre

작품

 

만남

원제 Une Rencontre

 밀란 쿤데라 | 옮김 힌용택

출판사 민음사 | 발행일 2012년 3월 23일 | ISBN 978-89-374-8414-8

패키지 양장 · 변형판 132x225 · 240쪽 | 가격 16,000원

 

 

 

 

 

 

 

 

 

 

 

 

 

 

 

예술이 사라져 가는 세상,
거장 쿤데라가 만난 천재 예술가들 이야기

 

 

소설가이자 극작가, 에세이스트이자 망명가, 그리고 무엇보다도
‘인간’ 밀란 쿤데라의 영혼을 뒤흔든 세기의 만남들.
쿤데라의 첫사랑, 위대한 음악가 야나체크,
인간 본연의 모습을 난폭하게 드러내는 화가 프랜시스 베이컨,
미국적 에로티시즘을 하나의 역사로 그려 낸 소설가 필립 로스,
그 어떤 작가도 감히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언어적 자유를 누린 샤무아조,
소설사의 또 다른 시대를 연 카프카…….


예술-이후의 시대, 예술의 필요성, 감수성, 예술에 대한 사랑이
사라지기 때문에 예술조차 사라져 가는 이 시대,
쿤데라의 날카로운 시각과 풍부한 지식, 신랄한 유머를 통해 만나는
현대 예술계의 거장들.

 


▶ “자신의 지성에 대한 도전이자 놀랍고 흥미로운 경험,
그리고 무엇보다도 큰 즐거움을 주는 작품.” ―《뉴욕 타임스》

 

 


“나는 만남이라고 표현했다.

교류도 아니고 우정도 아니며, 동맹조차도 아니다.

만남, 다시 말해 스파크고 섬광이고 우연이다.” ―작품 속에서

 

밀란 쿤데라가 『소설의 기술』(1986), 『배반의 약속』(1993), 『커튼』(2005)에 이어 네 번째 에세이를 펴냈다. 바로 『만남』이다. 전작들이 쿤데라 소설의 정체성, 중부 유럽 소설의 현재 위치, 나아가 소설이라는 예술 장르의 의미를 말하고자 했다면 『만남』은 쿤데라 인생에 잊지 못할 방점을 찍어 준 예술가, 혹은 예술 작품들과의 “스파크고 섬광이고 우연”인 만남들, 작품 발문을 인용하자면 그의 “성찰과의, 추억과의, 오랜 주제와의, 오랜 사랑과의 만남”들을 소개한다.
쿤데라가 경탄한 작가 베케트, 브로흐, 이오네스코, 말라파르트, 쿤데라와 교류했던 동시대를 움직였던 작가 르네 데페스트르, 카를로스 푸엔테스, 루이 아라공, 뿐만 아니라 화가 프랜시스 베이컨과 작곡가 야나체크 등, 쿤데라와 여러 거장들과의 만남은 21세기의 독자이자 청중인 우리들에게 또한 강렬하고 아름다운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

 

 

천재들을 내친 유럽, 예술-이후의 시대, 예술이 사라진 세상

 

1999년 파리의 한 주간지가 ‘세기의 천재들’이라는 자료를 발간했다. 열여덟 명이 수상자 명부에 올랐

다. 그런데 여기에는 소설가도 없고 시인도 없고 극작가도 없다. 철학자도 없다. 건축가는 단 한 명 있

다. 화가는 단 한 명이지만 디자이너는 두 명 있다. 작곡가는 없지만 성악가는 한 명 있다. 영화인은 단

한 명 있다. 이 명부는 매우 분명하게 현실적인 변화를 예고했다. 유럽과 문학, 철학, 예술의 새로운 관

계다. ― 작품 속에서

 

‘세기의 천재들’ 자료에 따르면 이 천재들이란 코코 샤넬, 마리아 칼라스, 프로이트, 마리 퀴리, 빌 게이츠, 피카소, 이브 생로랑, 록펠러, 큐브릭, 토머스 에디슨 등이다. 쿤데라는 이 명부가 “매우 분명하게 현실적인 변화를 예고했다.”라고 말한다. 오늘날 사람들은 “문화의 천재들을 조금의 후회도 없이 멀리 내친” 것이다. “세기병과 도착증, 그리고 그 죄악과 함께 모두 명성이 더러워진 문화적 우두머리들”보다 “코코 샤넬과 그녀 드레스의 순수함”을 사람들이 선호한 것에서 쿤데라는 “그나마 위안”을 받는다. 쿤데라에 따르면 유럽은 검찰관들의 시대로 들어가고 있다. 유럽은 더 이상 사랑받지 않고 있다. 유럽은 더 이상 스스로를 사랑하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예술이 더 이상 사랑받지 못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 쿤데라는 그 대표적인 예로 영화 기술을 꼽는다. 『만남』에서 쿤데라는 1895년뤼미에르 형제가 발명한 것은 “예술이아니”라 “기술이었”다고 단언한다. 예술로서의 영화가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 중요성은 기술로서의 영화의 중요성보다도 훨씬 더 제한적이고, 그 역사가 모든 예술 역사 중에서 가장 짧다는 것이다.


이러한 “활동사진”의 발견이 없었다면, 지금 세상은 현재 모습이 아닐 수도 있을 것이다. 새로운 기술

은 우선, (스폿 광고, 텔레비전 드라마처럼 저질 문학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한) 바보 만들기

의 주요한 동인이 되었으며, 두 번째로 (불리한 상황에서 정적을 비밀리에 촬영하고, 테러 행위가 일어

난 후 들것에 누워 있는, 옷이 반쯤 벗겨진 여자의 고통을 불멸화하는 카메라처럼) 전 지구적인 무례

함의 동인이 되었다. ― 작품 속에서

 

스토리텔링으로서의 영화가 아니라 화려한 3D 기술로서의 영화가 주목받고, 작고 간편한 휴대용 기기가 책, 편지, 오디오의 기능을 독점해 가는 현 시대, 사람들은 점점 더 순수 문학으로서의 소설과 시를 읽지 않고 있다. 쿤데라가 “예술-이후의 시대에 있다는 느낌, 예술의 필요성, 감수성, 예술에 대한 사랑이 사라지기 때문에 예술이 사라진 세상에 있다.”라고 말한 것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쿤데라는 이렇게 예술이 사라져 가는 세상, 예술-이후의 시대에서도 자신의 영혼을 뒤흔들고, 자신의 인생에 깊은 “흔적”을 남긴 예술계의 거장, 혹은 그들 작품과의 만남을 통해 여전히 살아 숨 쉬는 예술, 그 속에 숨은 인간 본연의 모습과 마주하기를 멈추지 않는다.

 

 

소설가이자 극작가, 에세이스트이자 망명가, 그리고 무엇보다도
‘인간’ 쿤데라의 영혼을 뒤흔든 세기의 만남들

 

쿤데라는 자신의 첫사랑이 작곡가 야나체크라고 고백한다. 야나체크는 그의 첫사랑일 뿐만 아니라, 그의 고국을 그의 “미학적 유전자에 영속적으로 각인”한 사람이기도 하다. 야나체크는 일생을 체코 브르노에서 보냈다. 젊은 피아니스트였던 쿤데라의 아버지는 그곳에서 야나체크의 초기 연구자들과 지지자들과 어울렸다. 쿤데라는 야나체크가 세상을 떠난 지 일 년 후에 태어났고, 유년 시절부터 매일 아버지나 아버지의 제자들이 피아노로 연주하는 야나체크의 음악을 들으며 자랐다. 1971년, 침울했던 점령 시절, 아버지 장례식을 치르면서 쿤데라는 일체의 담화를 금지했다고 한다. 단지 음악가 넷이 화장터에서 야나체크의 현악4중주곡을 연주하기만 한 것이다. 쿤데라에 따르면 야나체크는 인간(삶)의 노쇠, 추함, 우스꽝스러운 면을 음악으로 훌륭하게 환원한 작곡가다.

 

『만남』에서 쿤데라가 주목한 화가는 프랜시스 베이컨이다. 쿤데라는 미셸 아르솅보의 제안으로 한 잡지에 베이컨에 대한 에세이를 썼고, 베이컨은 이를 읽고 “스스로를 발견한 드문 글 가운데 하나”라고 전해왔다고 한다. 『만남』에는 바로 그때의 에세이와, 훗날 덧붙인 글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쿤데라는 베이컨의 뮤즈였던 여인 헨리에터 모레스의 초상 삼부작을 보고 깊은 영감을 받았다. 쿤데라는 베이컨의 초상화가 ‘자아’의 한계에 대한 ‘질문’이라고 말한다.

 

화가의 시선은 난폭한 손처럼 얼굴에 놓여 있었고, 얼굴의 정수를, 내면 깊은 곳에 감추어진 그 다이

아몬드를 빼앗으려 하고 있었다. 물론 내면 깊은 곳이 정말 무엇인가를 감추고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

다. 하지만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우리 모두에게는 이런 난폭한 몸짓, 타인의 내면과 배후에 숨겨진 무

엇인가를 찾고자 하는 희망을 품고 타인의 얼굴을 마구 구기는 이런 손의 움직임이 있다.

(중략)

어느 정도까지 왜곡될 때, 한 개인은 여전히 그 자신으로 남아 있을까? 어느 정도까지 왜곡될 때, 사랑
하는 존재는 여전히 사랑하는 존재로 남아 있을까? 소중한 얼굴이 질병 때문에, 광기 때문에, 증오 때
문에, 죽음 때문에 멀어질 때, 얼마나 오랫동안 그 얼굴을 알아볼 수 있을까? ‘자아’가 더 이상 ‘자아’이
기를 멈추는 경계는 어디인가? ― 작품 속에서

 

『만남』은 다른 어떤 장르보다도 강하게, 문학에 대한 쿤데라의 애정을 드러내는 작품이기도 하다. 쿤데라는 도스토옙스키의 『백치』를 통해 우스운 일이 전혀 없는데도 웃음을 터뜨리게 되는 역설적인 희극적 상황, 즉우리가 “어쩔 수 없이살아야만하는 유머없는웃음의 세계”를포착해낸다.셀린을 통해서는 고문과 전쟁과 죽음을 겪어야 했던 세대의 운명을, 필립 로스의 작품에서는 “정체가 드러나고 환상이 깨져 버린 우리 자신의 벗은 몸”, 그 욕망과 마주한 “버림받은 인간이 자신의 몸을 마주할 때 느끼는 기이한 고독”과 만난다. 한편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백년의 고독』을 두고는 “소설 예술의 극치인 동시에 소설의 시대에 보내는 작별 인사”라고 평한다.
뿐만 아니다. 『백조의 날개』를 쓴 아이슬란드 소설가 구드베르구르 베르그손, 스페인 작가 후안 고이티솔로, 루마니아 출생 그리스 작곡가 이안니스 크세나키스 등 어쩌면 국내 독자들에게 약간은 낯설지도 모를 예술계 거장들이 쿤데라의 눈과 귀와 손을 거쳐 우리를 매혹한다.

 

 

발췌로 만나는 짧지만 강렬한 『만남』 속 ‘만남’들

 

흐라발

흐라발을 읽을 수 있는 세상은 그의 목소리를 들을 수 없는 세상과 완전히 다른 세상이다.

 

카프카

카프카와 더불어 우리는 소설사의 또 다른 시대로 들어간다.

 

야나체크

무엇을 통해 내 고국이 내 미학적 유전자에 영속적으로 각인되었는지를 내게 묻는다면, 나는 주저하지 않고 대답할 것이다. 야나체크의 음악을 통해서라고.

 

라블레

왜 라블레일까? 왜냐하면 그는 소설 예술에서 진지하지 않은 것의 개척자이고 설립자이며 화신이기 때문이야. 이 두 가지 준거에 의해 루슈디는 진지하지 않은 것의 원칙 자체를 강조해. 그리고 진지하지 않은 것은 바로, 역사 내내 무시되어 왔던 소설 예술의 가능성들 중 하나야.

 

필립 로스

필립 로스는 미국적 에로티시즘에 관한 위대한 역사가다. 아울러 그는 버림받은 인간이 자신의 몸을 마주할 때 느끼는 이 기이한 고독을 노래한 시인이기도 하다.

 

밀라시우스

밀라시우스 시의 체코어 번역판은 내게 아주 깊은 흔적을, 어쩌면 당시 내가 탐독하던 아폴리네르나 랭보 또는 네르발이나 데스노스의 시보다도 더 깊은 흔적을 내게 남겼다.

 

「바르샤바의 생존자」

아널드 쇤베르크의 오라토리오인 「바르샤바의 생존자」는 음악이 홀로코스트에 바친 가장 위대한 기념
물이다.

 

「훌륭한 솔라보」

샤무아조의 「훌륭한 솔라보」는 문화사에서 가장 큰 사건들 가운데 하나를 다룬다. 끝나 가는 구술 문학과 태어나는 기술 문학의 만남이다.

 

「오줌 누는 여인」과 「게르니카」

흥분, 공포, 혐오, 충격 같은 미학 너머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예술은 늘 경계해야 한다. 나체로 오줌 누는 여자의 사진은 발기하게 만들 수 있지만, 피카소의 「오줌 누는 여인」에서 동일한 효과를 끄집어낼 수는 없을 것이라고 믿는다. 비록 이 그림이 훌륭하게 에로틱한데도 말이다. 영화에서 대학살 장면이 나오면 우리는 시선을 돌리지만 똑같은 공포를 보여 주는 「게르니카」 앞에서는 시선이 즐거워한다.

 

 

리뷰


▶ 넘치는 지성과 신랄한 유머로 만나 보는 ‘창작’ 저 너머의 세상. ―《르 포앵》

▶ 이미 널리 읽히고 평가 내려진 작품들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분석. ―《리르》

▶ 짧지만 깊이 있는 이 에세이 속에는 경탄과 경의 어린 목소리, 그리고 그와 함께 날카로운 비판과 우려 섞인 목소리가 함께 담겨 있다. ―《르 마가진 리테레르》


▶ 마치 주술을 거는 듯한 독창적인 에세이. ―《가디언》

▶ 눈을 뗄 수 없이 강렬하며 독자들로 하여금 ‘진짜 ’ 생각과 감정을 환기시키는 예기치 못한 만남.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 이 책을 읽는 것은 자신의 지성에 대한 도전이자 놀랍고 흥미로운 경험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큰 즐거움이다. ―《뉴욕 타임스》


차례


1부 화가의 난폭한 몸짓_ 프랜시스 베이컨에 대해서 9

 

2부 소설, 실존 측정기들 35
      희극성의 희극적 부재(도스토옙스키, 『백치』)
      죽음과 호화로움(루이페르디낭 셀린, 『성(城)에서 성(城)으로』)
      가속되는 역사 속의 사랑(필립 로스, 『욕망의 교수』)
      인생의 나이에 대한 비밀(구드베르구르 베르그손, 『백조의 날개』)
      순정적인 사랑, 공포의 자식(마레크 비엔치크, 『트보르키』)
      추억의 와해(후안 고이티솔로, 『그리고 막이 내릴 때』)
      소설과 생식(生殖)(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백년의 고독』)

 

3부 블랙리스트들, 혹은 아나톨 프랑스에게 바치는 디베르티멘토 65

 

4부 완전한 상속의 꿈 101
      라블레와 미조뮈즈들에 대한 대화
      베토벤에게 있어서 완전한 상속의 꿈
      원(原)-소설, 카를로스 푸엔테스의 생일에 부치는 공개 편지
      유산의 전적인 거부 혹은 이안니스 크세나키스

 

5부 복합적인 만남처럼 아름다운 127

 

6부 다른 곳에서 151
     베라 린하르토바가 말하는 해방 망명
     한 이방인의 건드릴 수 없는 고독 
     내밀함과 우정
     꿈을 뒤지는 초현실주의자들과 라블레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
     위대한 두 봄에 대해서 그리고 슈크보레츠키 부부에 대해서
     그대는 아래에서부터 장미 향을 맡을 것이다

 

7부 나의 첫사랑 177
     외다리의 위대한 달리기
     향수에 젖게 하는 최고의 오페라

 

8부 쇤베르크를 잊음 199
     이것은 내 축제가 아니다
     베르톨트, 그대에게서 무엇이 남을 것인가? 
     쇤베르크를 잊음

 

9부 『가죽』, 원(原)-소설 211


역자 소개

 

옮긴이 한용택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불어교육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부르고뉴 대학교에서 앙드레 말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기대학교 대우교수, 건국대학교 연구교수를 지냈다. 현재 단국대학교 스토리텔링센터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서울대학교, 경기대학교, 건국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로 『동화, 콘
텐츠를 만나다』(공저), 『동화 속의 문화, 문화 속의 동화』(공저), 『다문화교육의 이해』(공저)가 있으며 옮
긴 책으로 모파상의 『광인?』, 『하나님의 이력서』, 『머리카락』, 『살아 있어 미안하다』, 『로맨틱 에고이스
트』 등이 있다.


'작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스운 사랑들 Risibles amours  (0) 2013.09.22
커튼 Le rideau  (0) 2013.09.16
배신당한 유언들 Les testaments trahis  (0) 2013.09.12
소설의 기술 L'art du roman  (0) 2013.09.12
향수 L’ignorance  (0) 2013.09.12